(250718) 최근에 일본을 몇번 갔다 오면서, 일본판 기기(Google Pixel 8 Pro - GE9DP)를 통한 모바일 교통카드를 활용했습니다. 편하더라구요. 구글아 그니까 빨리 구글페이 출시좀...
여튼, 그 여행을 준비하면서 찍어놓은 글 리뉴얼용 사진들을 휴대폰 사진 정리하면서 발견해서, 이 참에 글을 리뉴얼하고자 합니다.
원본 글은 230708에 작성되었고, 230827에 한번 리뉴얼되었습니다. 접어놓은 것은 1차 리뉴얼 당시 머릿글입니다. 크게 상관 없는 내용이니 패스하셔도 좋습니다.
원래는 쓰다가 시간만 버렸다고 생각해 집어 치워버린 글이지만(230708), 최근(230827) 구글페이 한국 진출 관련해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에서는 누군가에게도 쓸모가 있을 것 같아서 2달 가까이 묵히다가 던지는 글이다. 대충 썼던거라 부정확해도 이해해달라. 글 끝 졸속마무리도 그래서다.
페이먼트 시장에 조금이라도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익히 아는 사실이지만, 일본은 소니가 개발한 NFC 규격인 FeliCa (Felicity Card, NFC-F)를 전국적인 NFC 결제 규격으로 사용하고 있다. 덕분에 일본은 교통카드 시스템이 빠르고 정확하며, Suica는 두장을 겹쳐 찍었을때 한장의 잔액이 부족하다면 나머지 카드에서 자동으로 잔액을 끌어오는 미친 기능마저 있을 지경이다.
덕분에 많은 폰 제조사들은 이를 갈았으며, 소니의 정책상 무조건 관련 인증마크를 꾸득꾸득 기기 외부에 처박아야 FeliCa 라이센스를 넣어줬기 때문에, 그렇게 펌웨어 파편화를 싫어해서 미국 일부 주에서 합법인 통녹조차 안넣어주는, 단일 펌웨어에 광기에 가까운 집착을 보이는 애플도 iPhone 7 시리즈, Apple Watch 3까지 일본-홍콩 전용 모델을 만들어서 팔아묵은 전적이 존재한다.
물론 소니의 정책이 바뀌어서 기기 소프트웨어든 하드웨어든 어디다가 한군데만 박아도 되게 된 이후로, 이새끼들은 드디어 해방의 눈물을 흘리며 당장 글로벌 펌에 인증마크를 박고는 라이센스비를 감당해가며 글로벌 모델 전부에 박았다. 다른 나라에서 일본에 여행가는 경우, 외국인의 경우에는 굉장히 축복받은 경우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이미 지역 전용 모델을 만드는데 이골이 난 삼성이라던가, 일본에서 안드로이드를 팔아묵고 싶어하는 구글, 토착 회사인 샤프/소니등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제조사들의 입장은 다르다. 이들은 굳이 전세계에 팔아먹는데 대당 라이센스 비용을 내고(좀 비싼것으로 알려져있다) 펠리카를 탑재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목은 사실 반쯤 낚시나 다름이 없는데, 결국 무슨 짓을 해도 한국 안드로이드 폰으로는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실망했는가? 어쩔 수 없다. 라이센스비를 비싸게 받아처먹는 소니를 욕해라.
그럼 넌 뭘 위해 이 글을 쓰냐, 라고 물을 수 있는데, 답은 간단하다.
(사진은 Google Pixel 5a 일본판, 모델 코드 G4S1M)
나같이 일본향 안드로이드 기기를 사겠다는 정신나간 광인을 위해 쓰는 글이다(...) 이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기기에 대해서만 다루고, 이미 웹상에 아이폰에 대해서는 Apple Pay를 이용해 다룬 글이 많으니 그쪽을 참고해라.
1. 일본에서 교통카드를 쓰기위한 핸드폰의 조건이 어떻게 되나요?
정확히는 FeliCa 라이센스만 받아서 가능한 것이 아니다. FeliCa 인증은 단계가 있다.
출처 : https://atadistance.net/2018/05/03/google-pay-suica/
출처 2 : https://www.felicanetworks.co.jp/en/mfelica_pf.html
레벨 1 : 대부분의 폰에 탑재되어있음 - 기본 읽기/쓰기 동작 가능
이 씨발 아까는 라이센스 탑재 안되어있다면서 뭔소리냐고?
일반적으로 NFC 결제는 암호화등 규격에 몇가지 추가 기능이 필요하다. 그런걸 뺀 단순 읽기/쓰기 동작이다.
보통 스토어에 등록되어있는 스이카 잔액확인 앱들이 이런것으로 동작한다.
레벨 2 : FeliCa 사용 가능 SIM에서 결제 지원
홍콩의 옥토퍼스 카드 또한 FeliCa 기반이나, 이 단계에 있기 때문에 홍콩에서 발매된 안드로이드 폰이 걸러지는 것으로 알고있다(아니면 따로 코멘트점)
레벨 3 : おサフケータイ(오사이후케타이, Osaifu-Keitai) 결제 지원
바로 이놈이 일본 발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것이다. 이 레벨에 있는 스마트폰은 모두 FeliCa 전용 SE(Secure Element) 칩이 탑재되어있고, 오사이후케타이 앱을 받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Google Pay의 FeliCa 기반 결제는 전부 이놈으로 동작한다. 오사이후케타이는 펠리카와 같이 피쳐폰 시절인 2004년부터 사용되어왔으며, 이 위에 iD/QUICPay, Suica같은 결제 서비스들이 너무 많이 올라가 있기 때문에 구글과 애플도 이걸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다.
결론: 그러니까, 쓰고싶으면 얌전히 일본판 기기나 사라는 소리다. 아, 아이폰 빼고.
2. 그럼, 어떻게 해야 사용할 수 있나요?
준비물은 간단하다. 일본판 안드로이드 기기(갤럭시 중고를 추천한다. 심프리 자급제 신품은 당연히 150불이 넘기때문에 국내에서 배송받을시 당연히 관세를 내야 하고, 통신사 신품은 애초에 일본에 최소 6개월 이상 장기체류하는 사람 아니면 사기 힘들다. 보통 갤럭시를 사고 싶을텐데, 일본 삼성 공홈에서 심프리 자급제 갤럭시는 글 작성 시점(23/07/08) 기준 S23 울트라 1테라(25만 4천엔), M23(4만엔) 말고 없는지라 그닥 추천하지는 못하겠다. 구글 픽셀/ 소니 엑스페리아등 다른 폰을 사는건 VoLTE 문제로 국내 사용이 좆같으니 그냥 미친놈인...데, 애초에 일본판을 산다는거 자체가 미친놈이니 그냥 그러려니 해라.), 일본 구글 계정, 해외결제 가능 카드, 배대지 주소면 된다.
3. 발급받아보자!
일본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후, Google Pay에 카드를 추가하자. 보통 한국계정에서 일본계정으로 바꾼경우라면 이미 등록되어있을거다.
카드 청구 주소는 배대지로 하면 등록이 된다.
구글 월렛이 설치되어있지 않다면(가끔 초기펌에서는 그럴 수 있다.) 플레이 스토어에서 Google ウォレット와 おサフケータイ アプリ를 다운받자. 그리고 오사이후케타이를 먼저 실행해 진행하다보면
이런 화면이 뜨고, 모바일FeliCa 클라이언트라는 앱을 받게 될거다(경우에 따라서는 이 단계 또는 Google Pay 설정단계에서 おサフケータイ 設定アプリ(오사이후케이타이 설정애플리)라는 앱까지 받아야 할 수 있음. 본래는 기본 앱으로 깔려서 할 필요가 없는 작업이지만, 일부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초기 펌에서 기본앱으로 깔리지 않는 경우때문에 설명해둠. Pixel 5a 안드로이드 11 초기 펌이 이랬다.
이 과정을 지나기 전엔 글로벌 구글페이가 떠서, 교통카드 메뉴에서 백날천날 찾아봐야 Suica/PASMO가 뜨지 않는다. 둘은 일본 전자화폐로 분류되어 글로벌의 교통카드 메뉴에서 제공되지 않음.)
이후 월렛에 들어가서 월렛에 추가 버튼을 누르면 이런 메뉴가 뜬다. 여기서 전자화폐를 선택하면
이렇게 5종이 뜬다. 이중 교통카드는 Suica/PASMO 뿐.
여기서 뭘 누르든 처음 발급하는거라면,
이렇게 이 앱까지 깔라는 화면을 비춘다.
1. Suica
저기서 신규 기명식 온라인 카드를 발급하는 경우 새 맞춤형 카드를 터치하면 되고, 이미 있는 카드(설명상 기명식 추정)를 전환하는 경우 아래 맞춤형 실물 가드 전환을 누르면 된다.
입력 항목을 전부 넣어주자.
이름은 그냥 알파벳으로 넣어주면 된다. 우편번호는 위에서도 쓴 배대지의 것. 전화번호는 한국 전화번호 넣어도 튕기지 않는다. 단 이로인해 발생하는 일은 모두 개인 책임... 인데 밑에서 쓰겠지만 한국 전화번호 넣고 문의넣어도 안튕기는거보면 괜찮은듯 하다.
약관에 동의해주면
이렇게 카드를 월렛에 추가할 수 있다.
2. PASMO
아까의 선택 화면에서 PASMO를 선택했다면
이렇게, 새 무기명 카드 발권 옵션과 기명카드 전환 옵션을 준다.
아무 문제도 생기지 않는 무기명 옵션이 있다는건 메리트이나, 후술하겠지만 한국 발행 카드로는 어떤 카드를 써도 Google Pay를 통한 충전이 불가능하다!(앱 내 충전은 모르겠음.) 또한 무기명 옵션 선택시 후술하겠지만 일부 경우 휴대폰의 고장이나 분실시 해당 구글 계정에서 PASMO를 사용하지 못하는 수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무기명 카드 발권 옵션을 택하면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고, 이후 약관에 동의하면
발급 완료.
4. 충전해보자!
발급이 제대로 되었다면, 월렛 메인 화면에서 이렇게 나타난다. Suica와 PASMO는 동시에 발급 가능한 폰도 있고, 아닌 폰도 있다. 동시에 발급이 되는 폰이라면, 한쪽만 활성화되고 한쪽이 비활성된다.
카드에 잔액을 충전하려면, 충전할 카드를 선택하고, 아래의 충전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이렇게 충전 금액 확인 창이 뜬다. 충전 금액을 선택한 후,
충전할 금액을 선택하면 이렇게 Google Pay 결제 프로필에 등록된 카드를 이용해 결제할 수 있는데(* Google Pay를 통한 오프라인 EMV Contactless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페이먼트 프로필에 등록되어 Google Play등의 온라인 결제에 이용 가능한 것을 말함. 여기에는 한국 발행 카드를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제약이 없다.)
Suica의 경우는 한국 발행 카드는 JCB, AMEX 국제브랜드로 발급된 카드만을 이용할 수 있고,
PASMO는 Google Pay를 통한 충전을 한국 발행 카드로는 이용할 수 없다. (아예 사용할 수 없는 카드라는 메시지를 선제적으로 띄워 선택이 불가능하다. 앱 내 충전의 경우 시도해보지 않아 불명.)
나는 충전에 하나카드 발행 JCB Platinum이 달린 CLUB SK 카드를 사용하였다. 추후 다른 카드를 사용한다면 여기에 업데이트 하겠다.
Suica 충전의 경우, 결제 프로필에 등록된 VISA / MasterCard 국제브랜드 카드의 선택은 가능하나, 실제로 결제를 해보려 하면 오류로 인해 결제가 되지 않고 충전이 실패한다. 일설에 의하면 JR동일본측에서 수수료 절감을 목적으로 직접 전표매입을 함에 따라서 수수료가 생기는 VISA / MasterCard등의 해외 발행 카드의 사용을 막았고, JCB의 경우 일본 내 카드사이므로 그러한 수수료가 없어 받는다고 한다. American Express의 경우 일본 내 전표 처리 위탁이 JCB에 맡겨져 있어서 그렇다는 설이 있다. 아무튼, 이러한 오류를 본 후 지속적으로 동일한 카드로 충전 시도를 하면 정지를 먹는다는 소문도 있었는데, 불확실하긴 하나 어차피 불가능하므로 힘 빼지 말고 얌전히 JCB나 Amex 받자.
충전이 정상적으로 되면 이런 메시지와 함께 잔액이 업데이트 된다.
4-1. Suica 충전 시도시 한도 도달 메시지와 함께 RESULT_ERROR_8H025가 뜨는 경우
정상적으로 충전이 되다가 이러한 오류가 뜨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1. 모바일 Suica 앱 내부에서 신용카드를 등록해 충전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먼저 이쪽을 시도해보고
https://x.com/sakura_craw/status/1764059330779992537
https://syobon.jp/blog/2022/10/16/pixel-watch-suica-problem-fix/
이 사례와 같이 앱에서도 충전이 불능이라면
2. 모바일 Suica 고객센터에 문의를 접수하면 수 시간 내에 풀어준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쪽이 아마 정식 해결책인듯 하다.
그 동안에는 안내 멘트와 같이 일단은 발매기나 편의점에서 현금을 통한 충전을 사용하면 된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 문의에 계정 등록된 전화번호를 넣는 칸이 있는데, 한국 전화번호를 넣어도 검사를 안하는지 딱히 제재를하진 않는다.
문의용 메일 폼 : https://apfaq.mobilesuica.com/helpdesk?category_id=75&site_domain=default
출처 1 : https://ameblo.jp/hongsi/entry-12842658967.html
출처 2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nokanto&no=508572
만약 전철에서 내려 게이트를 통과하기 전인 운임구역에서 이러한 일이 발생했는데, 잔액이 부족한 경우라면 먼저 초과운임 정산기(のりこし精算機/Fare Adjustment라고 적혀있다.)를 찾아서 사진의 왼쪽과 같이 카드 투입형인지, 올려놓을 수 있는 방식인지 확인하고 왼쪽 카드 투입 방식이라면 개찰 맨 가장자리의 유인개찰에 가서 역무원한테 상황을 설명한후 운임을 현금으로 지불하고 조치를 받아 나가면 되며(* 전원이 꺼져 이용할 수 없게 된 사례에서의 대처 방법과 같이(*아래쪽 접힌 내용에 링크를 첨부해두었음.) 개찰 입장 기록을 지워줄 것이다. 고객센터에 상황에 대한 문의는 해야 한다!)
오른쪽의 IC카드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정산기의 경우 휴대폰을 올리고 충전 또는 정산을 선택해 사용한 후 개찰을 나가면 된다.
5. 무기명 모바일 PASMO를 사용할때 주의사항
1. 무기명 PASMO는 발급 후 모바일PASMO에 가입하지 않으면 환불 및 삭제가 불가능하다
2. (중요) 휴대폰 고장, 분실 시 모바일PASMO에 가입되지 않은 모바일 PASMO는 새 핸드폰을 구매했을 때 재발급/잔액이전이 불가능하다
3. 문제는 구글 계정에 이전 휴대폰의 PASMO가 바인딩되기 때문에 새 기기에서 기존 구글 계정으로 새 PASMO를 발급받으려 하면 이전 휴대폰의 PASMO의 이전 절차가 우선 시작되어(이전 폰 필요) 발급이 불가능하다!!
이전 휴대폰에는 이 글을 쓰느라 발급해놓고 한번도 쓰지 않았던 무기명 PASMO가 있는데, 그것과 내 구글 계정이 바인딩되어 Google Pay에서 발급 시도를 해도(이전 절차 우선 시작), 모바일 PASMO에서 발급시도를 해도(에러 발생, F1-206) 발급 불능에 빠지고, 공식 홈페이지에서는(*링크 접힌글 참조) 1 구글계정당 1 카드만 사용 가능하고, 회원 등록이 되지 않은 기기의 무기명 PASMO는 재발행/탈퇴수속을 해줄 수 없다고 하니 그 구글 계정이 무기명 PASMO 발행 불능의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모바일PASMO도 마지막 사용 후 10년의 유효기간이 있고 PASMO는 마지막 사용 후 10년이 지나면 타사와 다르게 유효기간 연장이 불가능하니 아마도 10년 지나면 풀릴지도...?)
그래도 PASMO를 쓰고싶다면, 해결책은 다른 구글계정을 폰에 추가해 그것으로 구글페이에 로그인하면 무기명 PASMO를 받을 수 있다. 1년 전 경에 한국 구글 계정에도 Google 월렛 앱이 풀려서 그런가 의외로 한국 계정으로 로그인 해도 맨 위에서 말한 관련 앱만 깔려 있으면 별 무리 없이 일본의 전자화폐를 발급받을 수 있다.
5번 내용은 추후 보강 예정이지만, 아무튼 끝.(250716)
*개찰 입장 후 휴대폰의 전원이 꺼져 이용할 수 없게 된 경우의 JR동일본측의 공식 대응 FAQ :
*5번 항목 관련 모바일PASMO측 FAQ :
https://support.mobile.pasmo.jp/faq/show/4098?category_id=60&site_domain=default
다음 내용은 첫 작성, 1차 리뉴얼 당시 꼬리말 부분입니다. 이미 위에서 작성된 내용이므로 무시하셔도 좋습니다.
하지만 스이카나 파스모나 다 문제가 있다.
스이카의 경우는 뭐 돈일본이 돈아낀다고(솔직히 여기서부터 뭔가 이상하긴 한데, 일단 ㅇㅋ..) 전표 매입을 직접하는 바람에 수수료 뜨는 해외발행 카드를 싹 막아버렸다나 뭐라나... 그래서 명목상으로 충전화면에서 받기는 하는데, 에러뜨면서 안된다. 몇몇 후기를 보니 몇번 더했다가는 정지라 카더라..
파스모는 비자마스타를 튕겨낸다(...) JCB나 아멕스 디스커버 다이너스는 불명. JCB는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모르겠다.
던져버린 글 예토전생 시킨거라 마무리는 졸속으로. 끝. (230827)
p.s. 글 재작성 시점에 다시금 점검하는데, 의외로 오사이후케이타이 관련 서비스가 깔려있다면 한국 계정으로도 발급은 되는듯 하더라.
'ComputerLife > 소프트웨어갤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돌아온 리눅스 (0) | 2024.03.29 |
---|